1. 6대 전략광종 가격 및 광물종합지수
동(美·中 무역갈등 심화 및 중국 경기부진에 따른 하락세)
⊳ 최근 美·中 무역갈등 재점화 우려, 중국의 경기지표 부진에 따른 수요둔화 및 거래소 재고량 증가추세로 전기동 가격하방압력 발생
-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은 향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60~100% 관세부과를 발표하였고, 바이든 정부는 중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해 추가적인 제재 방침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짐
- 중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4.7% 증가로 1분기 성장률(5.3%↑)과 시장전망치를 크게 하회함
- 지난주 중국의 제20기 3중전회 결과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으면서 경기부진 우려 지속
- 런던금속거래소(LME)의 7월3주차 동 재고량은 221,350톤으로 전주대비 11.7% 급증 (9주연속↑)
⊳ 다만, 중국의 주요 제련소 감산계획 발표 및 미연준 연내 금리인하 기대에 따른 달러가치 하락으로 상기 하방압력이 일부 상쇄되는 것으로 분석
- 작년말 First Quantum Minerals社의 파나마 Cobre Panama 광산의 폐쇄결정 등 동 정광 공급부족 여파로 최근 중국의 정제련 수수료(TC/RCs)가 `10년 7월이후 최저치를 경신함
- 중국의 대형 동 제련업체인 Daye Nonferrous Metals Groups社(연산 93만톤급)는 `25년 정련동 생산규모를 20% 감축하겠다고 발표함
- 7월3주차 미달러인덱스는 103.89로 미연준 금리인하 기대상승에 따라 전주대비 0.53p 하락 (3주연속↓)

니켈(공급과잉적 펀더멘털 및 재고량 증가로 하락세)
⊳ 중국의 경기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러시아 주요 제련소 생산재개 결정 및 주요 거래소 재고량 증가로 가격하방압력 발생
- 러시아 Nornickel社는 Nadezhda제련소의 고로 2기 중 한 기의 보수작업이 완료되어 8월 조업재개 결정
- 7월3주차 LME의 니켈 재고량은 100,931톤으로 전주대비 2.9% 증가 (13주연속↑)
⊳ 다만, 인니산 저가 니켈공급 확대로 수익성이 악화된 호주 메이저의 생산중단 등으로 상기 하방압력 일부 상쇄
- 메이저 BHP社, 호주 Nickel West 니켈 사업부 10월부터 가동중단 발표로 호주 전체 니켈 생산시설의 46%가 가동중단 결정
유연탄(유가하락에도 불구, 계절성 수요확대로 소폭 상승)
⊳ 7월3주차 국제유가(WTI)는 배럴당 80.13달러로 전주대비 2.5% 하락 및 중국의 경기부진 우려에도 불구, 계절성 수요확대에 따라 연료탄 가격은 전주대비 2.1% 소폭 상승
- 연료탄 일일가격은 주초반 톤당 137달러에서 139달러까지 완만한 상승세 시현
철광석( 중국 경기부진 및 메이저 증산에 따른 하락세)
⊳ 미연준의 연내 금리인하 기대에도 불구, 중국의 제20기 3중전회 결과 신규 경기부양책이 제시되지 않으면서 철강 수요둔화 우려에 따른 하방압력 발생
- 중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이 4.7%로 전망치를 하회하였고, 제20기 3중전회 결과 부동산 신규 경기부양책이 제시되지 못하면서 경기부진 우려 심화
⊳ 또한 메이저 Vale社의 2분기 철광석 생산량은 80.6백만톤으로 브라질 S11D, Vargem Grande광산의 증산으로 전년동기대비 2.4% 증가하여 하방요인 작용
- BHP社도 호주 Pilbara광산의 증산으로 2분기 생산량이 69.2백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6% 증가함
우라늄( 파운드(lb)당 85.22달러로 전주대비 0.8% 하락)
2. 주요 희소금속 : 리튬, 코발트, 망간, 희토류
단위 : U$/톤 (코발트 : U$/lb) | |||||||
광종 | 연평균 | 주간평균 | |||||
’23년 | ’24.1~6월 | 전년비(%) | 7.2주 | 7.3주 | 전주비(%) | ||
탄산리튬 | 35,697 | 14,331 | △59.9% | 12,415 | 11,889 | △4.2% | |
수산화리튬 | 37,972 | 12,963 | △65.9% | 11,345 | 11,174 | △1.5% | |
코발트 | 17.82 | 16.90 | △5.2% | 16.55 | 16.55 | - | |
페로망간 | 1,266 | 1,203 | △4.9% | 1,340 | 1,310 | △2.2% | |
희 토 류 |
산화디스프로슘 | 330,258 | 273,725 | △17.1% | 246,100 | 233,700 | △5.0% |
산화네오디뮴 | 78,383 | 54,242 | △30.8% | 50,850 | 50,700 | △0.3% | |
산화이트륨 | 7,528 | 6,239 | △17.1% | 6,300 | 6,300 | - | |
산화세륨 | 1,030 | 1,190 | 15.5% | 1,255 | 1,255 | - | |
산화란탄 | 959 | 975 | 1.6% | 975 | 975 | - | |
* 가격기준 : 탄산리튬(중국 내수가격, 99.5%min), 수산화리튬(중국 내수가격, 56.5%min, Magnets 0.0001%max), 코발트(유럽 in-warehouse 99.8%min), 페로망간(중국 FOB 75%), 산화디스프로슘(중국 FOB 99.5%min), 산화네오디뮴(중국 FOB 99.5∼99.9%), 산화이트륨(중국 FOB 99.999%min), 산화세륨·산화란탄(중국 FOB 99.5∼99.9%min) ** 위 가격은 참고가격으로 실제 시장거래 가격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|
탄산리튬 | 탄산리튬은 여름철 수요 둔화 및 공급증가 전망으로 전주대비 하락 |
⊳ 탄산리튬은 향후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여름철 수요둔화가 가격하방요인으로 작용해 전주대비 하락
* 생산비용이 높은 생산업체들은 생산량을 감축했지만, 생산비용이 낮은 신규 프로젝트들이 2분기 가동을 시작하면서 시장은 전반적으로 공급이 충분한 상황
⊳ 수산화리튬은 충분한 공급과 수요업체의 높은 재고량으로 전주대비 하락
코발트 | 중국 금속가는 공급과잉으로 전주대비 하락, 유럽 금속가는 전주가격 유지 |
⊳ 중국 코발트 금속가는 생산업체들의 캐파확장에 따른 공급과잉과 수요둔화로 약세를 보이며 가격하락세를 지속해 전주대비 하락
⊳ 유럽 코발트 금속가는 여름철 수요둔화에 들어서며 현물 거래활동이 감소해 전주가격 유지
페로망간 | 중국 페로망간 가격은 공급업체가 제안가를 낮추며 전주대비 하락 |
⊳ 중국 페로망간 가격은 현물공급의 증가와 여름철 수요둔화로 공급업체가 제안가를 낮추며 전주대비 하락
희토류 | 산화디스프로슘은 전주대비 하락, 산화네오디뮴은 전주대비 하락 |
⊳ 산화디스프로슘은 장기간 수요부진의 영향을 받아 가격하락세를 지속해 ’20.10월 가격에 도달하며 전주대비 하락
⊳ 산화네오디뮴은 주요 생산업체들이 수요 반등을 위해 산화Nd-Pr의 제안가를 낮추면서 전주대비 가격 하락
⊳ 그 외 산화이트륨·세륨·란탄은 전주가격 유지
'경제동향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S AI, 자사주 매입 및 주가 급등 관련 뉴스(2025.04.25.) (0) | 2025.04.25 |
---|---|
SES AI Corporation 소개 (0) | 2025.04.21 |
SES AI의 최신 동향 (2025년 4월 기준) (0) | 2025.04.21 |
'24년 7월 글로벌 자원 동향 보고서(SNE Research) (2) | 2024.07.23 |